문해력, ‘책만 많이 읽히면’ 되는 걸까?
초등 영어책을 많이 읽히는 것이 문해력에 좋다는 이야기는 익숙합니다. 하지만 수업을 하면서 느낀 건, 단순히 책을 ‘많이’ 읽는다고 해서 문해력이 자라지 않는다는 사실이었어요.
저는 1~4학년 학생들을 가르치며, 영어책 한 권도 어떻게 접근하느냐에 따라 아이의 이해도와 표현력이 달라진다는 걸 매번 경험합니다. 처음엔 한글 해석만 보며 따라 읽던 아이가, 46주 후에는 주제 파악부터 문장 요약, 자기 의견 쓰기까지 가능해지는 걸 보며 확신하게 되었죠.
영어책을 ‘문해력 도구’로 제대로 활용하기 위한 5단계 방법을 소개합니다.
1단계. 표지부터 예측하고, 질문하며 시작하기
책을 펼치기 전, 아이와 함께 표지를 보며 주제를 예측해 보세요.
1> What do you think this book is about?
2> Who might be the main character?
제 수업에서도
활용하는 질문들입니다.
이런 질문을 통해 아이는 책의 흐름을 미리 짐작하고, 아이의 호기심을 끌어낼 수 있고,
독서에 더 몰입하게 됩니다. 단순히 ‘읽기 시작하는 것’과는 다른 접근이에요.
2단계. 내용 요약과 감정선 따라가기
책을 다 읽은 후, 다음의 3단계 요약 질문을 해보세요.
1> What happened in the beginning?
2> What was the problem?
3> How was it solved?
이 구조로 내용을 정리하게 하면 이야기 흐름을 파악하고, 핵심을 잡아내는 힘이 길러집니다.
실제로 제가 수업을 하면서 꼭 하는 것들입니다. 사실 대답을 하는 것으 처음부터 아이들이 쉬워하는 것은 아닙니다.
그렇기 때문에 저는 수업에서 이러한 부분을 아이들을 돕고 있습니다.
3단계. 문장 따라 말하고, 써보는 루틴 만들기
읽은 책에서 마음에 드는 문장을 고르고, 따라 말하고 써보게 해 보세요.
제 수업에서는 매주 1개의 문장을 정해 낭독 → 받아쓰기 → 바꿔 쓰기 활동을 합니다.
예를 들어, 한 학생은 “I made a kite.”라는 문장에서 출발해 3주 후에는 “I made a big red kite and flew it in the park.”까지 자연스럽게 문장을 확장했어요.
4단계. 주제와 관련된 짧은 글쓰기 연결하기
책 속 주제와 연결되는 짧은 글쓰기 활동도 효과적입니다.
만약에 Arthur Jumps into Fall을 읽었다면
1> Write about your favorite season.
1> What do you like to do in fall?
이렇게 하면 아이는 책과 자기 삶을 연결하며 표현력과 문해력을 동시에 키울 수 있습니다.
5단계. 책 내용을 바탕으로 말하기 활동하기
마지막 단계는 ’ 책 이야기 나누기(Book Talk)’입니다.
책의 내용을 바탕으로 친구 앞에서 말하거나, 녹음해서 발표해보게 하세요.
저는 이 수업을 위해서 정말 많은 준비를 하고 있는 부분입니다, 이 부분이 중요한 이유는 아이들이 얼마나 정독을 하였고
확장 할 수 있는지 알 수 있습니다.
한 학부모님은 아이가 “책만 읽는 줄 알았는데, 발표까지 하면서 생각 정리와 말하기가 자연스럽게 되네요. “라고 하셨어요.
책은 도구, 방법은 전략입니다
영어책은 단순한 독서 자료가 아닙니다. 아이의 사고력, 표현력, 문해력 전반을 키워주는 전략 도구입니다.
읽는 양도 중요하지만, 어떻게 읽히는지에 따라 결과는 완전히 달라집니다.
Kathey J English 수업에서는 이러한 5단계 전략을 통해 아이들이 단순한 ‘읽기’를 넘어 생각하고 말하는 힘을 기릅니다. 책이 영어 실력의 시작점이라면, ‘문해력 전략’은 그 실력을 완성하는 열쇠입니다.
'학부모 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TOSEL과 TOEFL Primary? – 수업 이야기 (0) | 2025.07.01 |
---|---|
🎬 『Inside Out』 감정을 배운다는 것 – 영어 표현과 문해력 확장의 시작 (0) | 2025.07.01 |
원서 읽기 수업을 초등에 해여 하는 이유에 대한 의견 (0) | 2025.06.30 |
AR/렉사일 지수 알고 봐요. (0) | 2025.06.30 |
아이들 숙제관리 어떻게 하세요? (0) | 2025.06.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