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어만으로 부족합니다.
초등학교 고학년 <Grade 5> 이 되면 많은 부모님들이 질문합니다.
“선생님, 중학교 올라가기 전에 문법 선행을 해야 할까요?”“ 우리 아이는 단어를 많이 준비합니다. 단어 시험 위주로 준비해도 괜찮을까요?”
“선생님, 우리 아이가 다니는 학원에서는 리딩 교재를 계속 풀리는데, 이것들로 충분한다요? 무엇인가 부족한 것 같습니다."
중학생의 영어는 간단히 전달드리면 읽기와 쓰기, 문법, 어휘, 말하기가 복합적으로 연결된 구조의 시작입니다.
고등학교가 되면 그 격차는 아주 큽니다. 중학교에 학습구도가 잘 맞추어져 있어야 고등학교에 가서 어려운 부분도 이겨 낼 수 있습니다.
그러나 많은 아이들이 단어 외우기와 교재 숙제 중심의 수업만 받고 올라가는 경우,
중학교 1학기부터 문해력·표현력 격차가 아이들마다 조금씩 드러나기 시작합니다.
중학교 영어는 무엇이 달라지나? <학원기준이 아닙니다.>
1. 우선, ‘정답 맞히기’보다 ‘이해하고 표현하기’ 중심으로 바뀝니다
초등학교 수업에서는 짧은 문장 읽기와 단답형 문장이 많지만,
중학교 영어는 본격적인 지문 독해와 장문 문법, 서술형 쓰기가 등장합니다.
구체적으로 쉽게 이야기 하자면 단순히 “is, are” 구분이 아닌 시제, 접속사, 간접의문문 같은 구조를 이해하고 적용해야 합니다.
사실 교과서를 보면 알 수 있지만 아이들은 초등학교 영어 수업에서 단순하고 간접적으로 이미 배우게 됩니다.
그래서 지금부터 ‘문장을 통째로 읽고 해석하고 다시 말하는’ 연습이 중요합니다. 하지만 아직도 단어를 많이 알면 다 잘할 수 있다고 단어 외우기 자체만 몰입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중학교의 지문은 어렵지 않습니다. 하지만 고등학교 때 아이들이 다루어야 할 지문은 빠르고 정확하게 이해하는 것이 관건입니다.
그럼 그때가서 더 연습하면 된다는 생각을 하신다면, 착각입니다. 문해력은 하루아침에 단어 수 많이 알 고 있다고 , 할 수 있는 학습의 영역이 아닙니다.
혹시나 아이의 문해력에 걱정이 있으시다면, 무조건 영어가 많고, 유명한 책만 좋은 책이 아닙니다,
그림책, 리더스북 등 스토리북에서 짧은 영어 문장을 통째로 받아들이는 훈련부터 시작해 보세요. 저도 아이가 있지만 아이의 학년과 레벨보다는 내용을 이해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2.문해력이 실력 격차를 만든다는 것
중학교부터는 국어든 영어든, 읽고 이해하는 속도와 정확도가 학습 전체의 바탕이 됩니다. 사실, 수학도 예외가 아닙니다.
수학도 마찬가지 입니다. 우리 아아들은 미국의 SAT가 있다면 수능시험이 있습니다.
주 용한 과목과 시험은 벗어날 수 없는 교육 구조에 살고 있습니다.
영어는 모국어도 아니고 문장 구조가 익숙하지 않기 때문에 문학과 비문학이냐, 긴 지문을 보면서도
단어를 알아도 무슨 말인지 모르는 현상이 자주 발생합니다.
정말 기억할 것은 단순 단어 암기보다는 원서나 글을 읽어 나가며 문맥 속에서 단어가 어떤 의미로 쓰였는지 이해하는 연습이 너무 정말 중요합니다. 결국 우리 아이들은 다양한 원서, 비문학 리딩, 독해력 훈련이 꾸준히 필요합니다.
3.자신의 생각을 쓰고 말하는 힘을 길러야 합니다
중등 내신의 핵심 중 하나는 서술형 문제로 스고 말하기 입니다. 사실 이러한 핵심은 단순한 문법 지식만으로는
“왜 그렇게 생각했는지 설명하시오, 당신이라면 어떻게 했을 것 같은가?” 와 같은 문제에 답하기 어렵습니다.
말하기와 쓰기를 연습하지 않고 올라가면, 결국에 단어도 알고 문법은 아는데 쓰지 못하고 말하지 못하는 상태가 되어 영어 학습에 아이들이 현실을 바주하게 됩니다.
하지만 방법은 있습니다. 너무 빠른 학습 진도에 아이가 따라가기 바쁜 구조가 아니라
지금부터 매주, 매일, 일주일 2번, 3번 이라도 영어 일기, 짧은 에세이, 자기소개 쓰기 등을 할 수 있게 할 수 있습니다.
우리 아이들 사실, 틀려도 괜찮은 환경에서 계속 써보는 훈련이 꼭 필요합니다.
결국은 문해력과 표현력 중요
아이들이 학습을 하는 것에 있어서 단어장, 문법 선행, 문제풀이도 필요하지만
그전에 더 중요한 것은 아이들 스스로 문장을 이해하고 말하고 쓸 수 있는 힘, 즉 문해력 기반의 표현력과 사고력입니다.
아이가 문장을 이해하는 속도는 빠른지, 심플한 생각이라도 스스로 문장으로 써보는 습관을 가지고 있는지, 처음 보는 단어도 문맥 속에서 추론하면서 읽을 수 있는지에 대하여 아직 잘 모르겠다고 하신다면 지금리라도 우리 아이가 영어 근력을 쌓을 수 있는 좋은 골든타임이 될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해 보아야 합니다.
'학부모 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AR/렉사일 지수 알고 봐요. (0) | 2025.06.30 |
---|---|
아이들 숙제관리 어떻게 하세요? (0) | 2025.06.30 |
전학을 준비할 때 이 3가지는 체크하세요. (0) | 2025.06.29 |
아이 학습에 놓친것이 있나 확인하고 싶을 때 (0) | 2025.06.29 |
SQ3R 전략으로 초등 영어 문해력 쉽게 키우는 방법 (5~6학년 추천!) (0) | 2025.06.28 |